알고보면코딩천재
Request / Session 본문
-세션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우리가 짜는 것이고, 세션id은 톰켓이 자동으로 만들어준다.
-세션id는 reponse header에 담겨서 간다.
-브라우저는 쿠키라는 저장소가 있다. 응답받은 정보 header안에 쿠키가 있나 확인하다가 있으면
브라우저 쿠키 영역에 저장한다. 재요청시 header에 쿠키에 저장된 정보를 같이 보내서 인증한다. (protocal)
-요청시 request가 만들어진다 (이미 만들어져 있는것이지만 이해 쉽게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자)
-repuest는 응답할때까지 정보를 기억했다가 응답시 소멸된다.
-데이터(정보)를 오래 보관하고 싶다면 세션에 저장하면 된다.
-get요청은 header O, body X 데이터는 주소에 담아 보낸다 => 쿼리스트링(구체적 질의)
-요청시마다 request가 만들어지는데 Redirect는 데이터가 옮겨가지 않는다
-Request Dispatcher는 데이터 복제기술로 새로운 request에 기존의 데이터를 덮어 씌운다.
@Controller 디폴트동작이 RequestDiapatcher이다. 만약 Redirect 쓰고 싶다면 직접 입력하면 된다.
-Redirect :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요청이 2번된 것이라고 알 수 있다
-Request Dispatcher : 클라이언트는 요청 1번으로 인식한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ntroller (1) - http 매서드 4개 배우기 (0) | 2022.08.29 |
---|---|
로그인 페이지 만들기 (1) (0) | 2022.08.26 |
DB데이터 view에 뿌리기 (Model) (0) | 2022.08.25 |
문법 배우기 (1) | 2022.08.25 |
IOC(Inversion of Control)컨테이너 (0) | 2022.08.25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