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보면코딩천재

java 기초형 본문

Java

java 기초형

알코천 2022. 7. 27. 16:32

src->new->pakage

Name에 ex05입력하고 Finish 클릭

 

ex05에 새로운 class를 생성한다

 

Name에 VarEx01를 입력하고 Finish

 

main을 입력한뒤 ctrl+space단축키를 실행하면 코드 스니펫(자동완성)이 나온다.

Enter !

 

package ex05;

public class VarEx01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int n1 = 10; //42억9천
	}
}

int n1 = 10; 입력

 

5줄부터 실행되는 것!

읽을 때는 우변부터 읽는다 => 10을 n1이라는 변수에 대입하는데 자료형은 int이다.

n1이라는 기호를 변수라고 부른다.

int은 타입이다(자료형)

int란 4Byte공간 (교재 p.79)

package ex05;

public class VarEx01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int n1 = 10; //42억9천, 정수최대는 21억 - 정수형
		System.out.println(n1);
		
		double d1 = 10.5; // 경(경우의 수), 정수최대는 21억 - 실수형
		System.out.println(d1);
		
		long lo1 = 3000000000L; // 경 - 정수형
		System.out.println(lo1);
		
		boolean b1 = true; // 1(true) or 0(false)
		System.out.println(b1);
		System.out.println(10>5);
		System.out.println(10<5);
	}
}

double 타입 8Byte - 실수표현 (int에는 실수 x)

 

우변의 값과 자료형의 타입이 같아야 한다.

 

오류를 읽어보는 것 디버깅이라고 한다.


정리

 

숫자 저장은 int로

int로 해서 안들어가면 long으로

실수 저장하고 싶을 때 double

true/false 저장하고 싶으면 boolean

 

 

 

 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 산술연산자 (operator)  (0) 2022.07.28
Java 변수 선언  (0) 2022.07.28
Java JVM 아키텍쳐 (1) - 기초 (정리중)  (0) 2022.07.27
메모리 구조 heap/stack/static  (0) 2022.07.27
05. Java는 하이브리드 언어  (0) 2022.07.27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