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spring (40)
알고보면코딩천재

text xml json x-www-form-urlencoded 웹 디폴트 기본 타입 hello=안녕 (QueryString처럼 생김)

QueryString로 요청하는 것은 - where절에 걸어라는 뜻 QueryString이 쪽지라면, header/body-짐 GET localhost:8000/board/1 : PathVariable은 PK 받는다 GET localhost:8000/board?content=스프링 : PK아닌 것들은 쿼리스트링으로 질의 DELETE localhost:8000/board/1 : PK where절에 걸릴 데이터 - 주소에 담아줌 PK - PathVariable 아닌것들 - QueryString 데이터 받기 GET -> http body가 없음.-> QueryString, PathVariable(PK)-> Form(GET) -> 브라우저(주소뒤 ? 붙이기) POST, PUT -> http body 담아준다 -..

http 메서드(행위) 클라이언트가 서버한테 하는 것 get - 줘, body 없음 post - 줄게, body에 담아 보낸다 put - 업데이트, 수정, body에 담아 보낸다 delete - body 없음 폼태그는 get과 post 요청밖에 못한다. put과 delete는 js로 요청한다. -> js 나중에 배울 것 주소에는 명사만 적는다 @RestController는 data를 return한다 @Controller는 파일을 return한다 context-path 설정 왜? project 분기하려고 / - 프로젝트가 하나밖에 없을땐 /하나 적으면 된다. 1. Get요청 @RestController ->IOC 컨테이너에 FirstController가 new되어서 올라감 data를 return한다 // ..

Member 이라는 테이블이 있다. 아이디 유저네임 패스워드 이메일 DB없이 만들어보기 공부용, 서비스 안만들고 걍 해보자 더미데이터 1. 엔티티 만들기 2. DAO 만들기 package site.metacoding.demo.domain.member; import java.util.ArrayList; import java.util.List; public class MemberDao { public Integer insert(String username, String password, String email) { System.out.println("insert 되었습니다."); System.out.println(username); System.out.println(password); System.out.p..

-세션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우리가 짜는 것이고, 세션id은 톰켓이 자동으로 만들어준다. -세션id는 reponse header에 담겨서 간다. -브라우저는 쿠키라는 저장소가 있다. 응답받은 정보 header안에 쿠키가 있나 확인하다가 있으면 브라우저 쿠키 영역에 저장한다. 재요청시 header에 쿠키에 저장된 정보를 같이 보내서 인증한다. (protocal) -요청시 request가 만들어진다 (이미 만들어져 있는것이지만 이해 쉽게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자) -repuest는 응답할때까지 정보를 기억했다가 응답시 소멸된다. -데이터(정보)를 오래 보관하고 싶다면 세션에 저장하면 된다. -get요청은 header O, body X 데이터는 주소에 담아 보낸다 => 쿼리스트링(구체적 질의) -요청시마다 re..

domain패키지 ->board,user패키지 생성 domian에는 엔티티랑 다오 만들것이다. 서비스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기에 따로 패키지를 만들것이다. 롬복 설정하는법 1. 플러그인 설치 스프링 툴 종료 자바파일 실행하는거 java - jar lo 탭키 Lombok이라는 프로그램을 STS툴에 설치하는 것 마켓플레이스에 없어서 하는 것임 설치완료후에 스프링 툴 다시 실행 @AllArgsConstructor - 런타임때 작동 어노테이션은 런타임때 작동 툴입장에선 컴파일 시점엔 생성자 없는 것-->플러그인 필요 2. DAO만들기 상세보기 화면으로 가는 메서드 PS영구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라는 뜻(DB에서 들고온 데이터에 붙임) 2. 어떻게DB에서 들고온 데이터를 view에 뿌릴 수 있을까 Moe jsp파일 =..

컴포넌트 스캔 내 프로젝트 userinfo, userList 페이지 생성 @Controller -return값이 파일명 타입 int가 아니라 Integer로 하는 이유 Optional int parameter 'id' is present but cannot be translated into a null value due to being declared as a primitive type. Consider declaring it as object wrapper for the corresponding primitive type. 프리미티브 자료형들 값 안넣으면 null이 아닌 0 그래서 int가 아니라 Integer로 잡는다. 쿼리스트링으로 아이값을 작성하면 username 매개변수 추가해서 username..

Flutter할때 Rest API DS디스패쳐 서블릿 (컨트롤러 찾아줌) 스프링은 컨테이너(힙 저장소)를 들고있다 @Controller 어노데이션보고 알아서 new해서 컨테이너에 띄워준다 : IOC(Inversion of Control)컨테이너 한번 new한것들을 공유해서 쓰기 어렵다 그런데 Spring은 어노테이션만 붙여놓으면 IOC컨테이너에 띄워놓은것을 필요할 때 갖다 쓸 수 있다. DI(Dependency Injection) 갖다 쓰는 거 @Controller 메모리에 띄울려고 쓰는 것